– Parental Leave, Family Tax Benefit, Child Care Subsidy 등 육아 지원 제도 총정리 –
호주에서 아이를 키우고 계신가요? 아니면 앞으로 아이를 계획 중이신가요?
한국과 비교했을 때 호주의 육아 제도는 어떤 점이 다를까 궁금하신 분들도 많을 거예요.
저 역시 호주에 이민 와서 첫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제도 덕을 톡톡히 본 경험이 있습니다.
오늘은 호주에서 제공하는 주요 육아 지원 제도를 정리해서 소개드릴게요.
특히 호주에서 출산을 계획 중이신 분들, 또는 이미 자녀가 있으신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 😊
1. 유급 출산휴가 제도 – Parental Leave Pay (PLP)
호주 정부에서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, 최대 **20주(100일)**까지의 유급 출산휴가를 제공합니다.
💡 주요 내용
- 지급 대상: 출산한 산모 또는 입양 부모 중 1인
- 지급 조건:
- 출산 전 13개월 동안 최소 10개월 근무
- 그중 최소 330시간(약 한 달간 풀타임) 일해야 함
- 소득 조건 충족 (상한선 있음, 2024년 기준 약 $168,865 이하)
- 지급 금액:
- 국가 최저임금 기준으로 주당 약 $882.75 (세전)
- 총 약 $17,655 (20주 기준)
💬 참고 팁
직장에서도 추가로 Paid Parental Leave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어요. 예를 들어 어떤 회사는 12주 유급 휴가를 따로 주는 경우도 있죠.
이 경우 회사 유급휴가 + 정부 PLP를 연속 또는 분리해서 받을 수 있어, 총 유급휴가 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.
2. 배우자 출산휴가 – Dad and Partner Pay (DAPP)
산모뿐 아니라 아빠 또는 파트너도 출산 후 2주간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어요.
- 지급 조건:
- 소득 조건 (PLP와 동일)
- 일정 근무 요건 충족
- 지급 금액:
- 마찬가지로 최저임금 기준 주당 약 $882.75 (세전)
- 총 $1,765.50 (2주 기준)
가족이 함께 아이를 맞이하고, 출산 초기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😊
3. Family Tax Benefit (FTB) – 육아 가정의 생활비 지원
육아 비용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도록 매주 또는 격주로 지원금을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.
FTB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:
✅ FTB Part A
- 자녀가 16세 미만, 또는 20세 미만이고 학교 재학 중인 경우
- 지급 금액은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
- 최대 금액: 자녀 1인 기준 주당 약 $210.06
✅ FTB Part B
- 한쪽 부모가 일을 하지 않거나 소득이 적은 경우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.
- 한부모 가정, 또는 한쪽 소득이 낮은 맞벌이 가정에 유리
- 최대 금액: 자녀가 5세 이하인 경우 주당 약 $181.44
💡 신청 팁
- Centrelink (Services Australia)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
- 매년 소득신고 후 정산이 이뤄지며, 과지급된 경우 일부 환불해야 할 수 있어요
4. Child Care Subsidy (CCS) – 보육료 지원 제도
아이를 어린이집(Child Care Centre)에 보내면 꽤 많은 비용이 들죠.
호주는 보육료의 최대 90%까지 지원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.
💰 지원 내용
- 보육료 지원 비율: 가정 소득에 따라 최대 90%까지 보조
- 예: 연소득 $80,000 이하 → 최대 90%
- 연소득 $530,000 초과 → 미지원
- 지원 시간: 부모의 일/학업 시간에 비례하여 지원 시간 결정
- 보육 형태: Centre-based care, Family Day Care, Outside School Hours Care 등 모두 가능
📌 참고
예를 들어, 주 3일 어린이집에 보내는 경우 보육료가 하루 $130이라면,
정부에서 70%를 보조하면 실제 부담액은 하루 $39, 주 3일이면 주 $117 정도가 됩니다.
5. 기타 지원 및 혜택
👶 Newborn Upfront Payment & Supplement
- 출산 시 일시금으로 약 $644 (2024년 기준)
- 추가 보조금으로 최대 약 $2,200까지 분할 지급
- FTB Part A 수급자 중 일부 조건 충족 시 제공됨
🧒 유아 건강검진 및 예방접종
- 생후 일정 시점마다 무료 건강검진 가능
- 예방접종도 무료이며, 일정에 맞춰 접종하지 않으면 FTB 등의 지급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의!
마무리하며 – "알면 받을 수 있고, 모르면 놓치는 혜택들!"
호주는 세금이 높은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, 그만큼 육아와 교육, 의료에 대한 지원이 탄탄한 나라이기도 해요.
특히 초기 육아 단계에서 정부의 다양한 제도를 잘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습니다.
저희 가정도 처음에는 복잡하고 생소해서 어려움을 겪었지만, Centrelink와 MyGov 웹사이트를 잘 활용하고, 주변 부모님들과 정보도 나누며 도움을 받았습니다.
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.
경험을 바탕으로 성심껏 답변 드릴게요. 😊
'호주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호주 시민권 vs 영주권, 뭐가 다를까? 갱신 시 꼭 알아야 할 것들 (0) | 2025.04.07 |
---|---|
호주 공립학교 vs 사립학교, 무엇이 다를까? 현명한 선택을 위한 가이드 (0) | 2025.04.07 |
호주에서 독감 예방주사 맞는 법 – 정부 지원 대상, 무료 접종, 방법 총정리 (2025년 기준) (0) | 2025.04.06 |
호주의 유아교육비와 차일드케어 보조금 (CCS) 완벽 정리 (0) | 2025.04.05 |
호주 학교의 학기제와 방학 시스템, 어떻게 다를까? (0) | 2025.04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