호주생활정보

호주의 Long Service Leave (장기 근속 휴가) 완벽 정리

호주생활정보 2025. 3. 3. 21:09

호주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속한 직원에게 주어지는 Long Service Leave(장기 근속 휴가)는 많은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 중요한 복지 제도 중 하나입니다. 이 글에서는 Long Service Leave가 무엇인지, 주별로 어떻게 다른지,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1. Long Service Leave란?

Long Service Leave(LSL)는 호주에서 장기 근속한 직원에게 주어지는 유급 휴가로, 일반적으로 한 직장에서 일정 기간(보통 7~10년) 이상 근무한 경우 해당 직원에게 추가적인 유급 휴가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이 휴가는 장기 근속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 마련된 것으로, 주마다 세부 규정이 다릅니다.

2. 주별 Long Service Leave 규정 비교

호주는 각 주(State) 및 테리토리(Territory)마다 Long Service Leave의 규정이 다릅니다. 따라서 자신이 근무하는 주의 규정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뉴사우스웨일스(NSW)

  • 10년 근속 시 8.67주(평균 2개월)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4.33주 추가 지급
  • 중도 퇴사 시 5년 이상 근속한 경우 일부 지급 가능

빅토리아(VIC)

  • 7년 근속 시 6.1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1년마다 1/60(약 0.87주)씩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하면 중도 퇴사해도 비례 지급 가능

퀸즐랜드(QLD)

  • 10년 근속 시 8.67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4.33주 추가 지급
  • 중도 퇴사 시 7년 이상 근속한 경우 일부 지급 가능

서호주(WA)

  • 10년 근속 시 8.67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4.33주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 후 정당한 이유로 퇴사 시 일부 지급 가능

남호주(SA)

  • 10년 근속 시 13주 유급 휴가 지급 (타 주보다 많음)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1.3주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 시 중도 퇴사해도 일부 지급 가능

태즈메이니아(TAS)

  • 10년 근속 시 8.67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4.33주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 후 퇴사 시 일부 지급 가능

노던 테리토리(NT)

  • 10년 근속 시 13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5년마다 6.5주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 후 퇴사 시 일부 지급 가능

ACT(캔버라)

  • 7년 근속 시 6.1주 유급 휴가 지급
  • 이후 추가 근속 1년마다 1/60(약 0.87주)씩 추가 지급
  • 7년 이상 근속하면 중도 퇴사해도 일부 지급 가능

3. Long Service Leave 계산 방법

각 주의 규정에 따라 LSL이 계산되지만, 일반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(근속 연수 ÷ 기준 연수) × 지급 주 수 = 받을 수 있는 LSL 주 수

예를 들어, 빅토리아에서 10년 근속했다면:

(10년 ÷ 7년) × 6.1주 = 8.71주

4. Long Service Leave 사용 및 지급 방식

  • 직원이 일정 기간 근무한 후 사용 가능하며, 고용주와 협의하여 휴가를 계획해야 함
  • 보통 2주 이상의 기간을 한 번에 사용하지만, 고용주와 합의하면 짧게 나눠 사용할 수도 있음
  • 퇴직 시 남은 LSL은 보상금으로 지급됨

5. 이직 또는 계약직의 경우

  • 동일한 업종에서 계속 근무하면 LSL을 유지할 수 있는 산업별 Portable Long Service Leave 제도가 있음 (건설, 보건, 사회복지 등)
  • 계약직, 캐주얼 직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LSL을 받을 수 있음

6. 결론

Long Service Leave는 호주에서 장기 근속 직원들에게 중요한 혜택 중 하나입니다. 각 주별 규정을 잘 숙지하고, 본인의 근무 조건에 맞는 LSL을 미리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LSL은 기업과 직원 간의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므로, 고용계약서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인사팀과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각 주별로 차이가 있지만, 기본적으로 근속 연수에 따라 혜택이 주어지는 것이 공통적입니다. 따라서 근무 중인 주의 LSL 규정을 잘 이해하고 계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
반응형